소상공인들이 카드 수수료마저도 버겁게 느끼는 상황에서각 지자체에서는 연매출 기준으로 수수료 일부를 환급해주는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.
오늘은 지역별 카드수수료 환급 신청방법과 유의사항을 안내합니다.
소상공인 카드수수료 환급 신청 방법
-
1단계: 지자체 공지 확인
시·군·구청 홈페이지에서 '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' 항목 확인 -
2단계: 신청서 제출
-
온라인 신청 가능 여부 확인
-
주민센터 방문 접수 시 사업자등록증, 카드매출 내역서 필요
-
-
3단계: 지급 방식 선택
-
사업자 계좌로 환급
-
일부 지자체는 지역화폐로 지급
※ 서울, 경기 등 일부 지역은 지자체 공공앱(제로페이·지역화폐앱 등)을 통한 신청이 기본입니다.
지역별 환급 조건 예시
지역 | 연매출 기준 | 환급 한도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경북 구미시 | 1억 원 이하 | 최대 50만 원 (0.5%) | 읍면동 신청 또는 온라인 |
전북 익산시 | 3억 원 이하 | 최대 150만 원 (전액 지원) | 간편 신청, 환급액 큼 |
충북 음성군 | 음성페이 가맹점 | 최대 75만 원 (0.25%) | 현금 또는 지역화폐 지급 |
강원 태백시 | 2억 원 이하 | 최대 20만 원 (0.25%) | 1년 이상 운영 사업장 |
※ 일부 지역은 카드수수료 외에도 건강보험료, 전기요금 부담을 덜어주는 별도 프로그램과 연계됩니다.
환급 절차와 유의사항
-
지급 시기: 접수 후 1~3주 이내 입금
-
환급 방식: 사업자 계좌 또는 지역화폐 앱으로 지급
-
신청 제한 사례:
-
연매출 기준 초과
-
카드사 매출 연동 실패
-
신청 서류 누락 또는 정보 불일치
-
동일 사업자 중복 신청
-
※ 대부분 지자체는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되므로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.
환급액이 크진 않더라도 정기적인 고정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꼭 챙겨야 할 지원금입니다.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조건을 확인하고, 누락 없이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0 댓글